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시금치 파종시기 겨울시금치가 맛있습니다

by 어느날내게다가온 2022. 11. 1.
반응형

시금치 파종시기

시금치 파종시기

우리나라에 처음 시금치가 소개된 것은 조선시대 중국으로 부터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산지는 서남 아시아 일대라고 합니다

시금치는 일년에 4모작 이상을 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생장속도가 좋아 파종시기만 잘 맞춘다면 연하고 부드러운 시금치를 언제든지 맛보실 수 있습니다

씨를 뿌린지 한 달 정도면 수확하여 먹을 수 있습니다 보통 파종을 할 때 4월중순, 6월 중순, 8월중순, 10월 중순에 합니다

월동 시금치는 맛이 좋아 10월말 부터 시작하여 1212월 말까지도 파종을 한다 그리고 이듬해 3월 봄이오는 시기까지 수확을 해 겨울철 채소 공급에 중요한 작물입니다

시금치는 씨껍질이 두터워서 하루를 꼬박 물에 담갔다가 뿌리는 것이 좋다. 종자 싹을 틔울 때 봄, 가을에는 따뜻한 방에서, 여름에는 시원한 음지에서, 겨울에는 25정도인 온돌방에서 3~4일간 싹을 틔워 파종하면 발아가 균일하여 좋다.

씨 뿌릴 자리를 파고 씨를 뿌리고 흙을 덮어주는 방법과 이랑에 뿌릴 때에는 갈퀴를 사용하여 뿌린 이랑 위를 긁어 씨가

살짝 덮이게 해다줍니다

시금치의 생육에 적정온도는 약 1520이고,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지만 산성 토양에서는 매우 약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손이 많이 가지 않아 주말농장 채소로 재배하기에 적합한 작물입니다.

 

시금치 파종시기

 

시금치 효능

뽀빠이라는 만화영화에서 뽀빠이는 시금치를 먹으면 아주 강한 힘을 쓸 수 있게 되면서 악당들을 물리치는 주인공으로

나오는데 이처럼 시금치는 3대 영양소뿐 아니라 수분, 비타민, 무기질 등을 많이 들어있는 완전 영양 식품입니다.

시금치의 엽산은 두뇌의 기능을 개선하여 치매 위험을 낮춰주고, 세포와 DNA 분열에 관여 기형아 출생 위험에서 피할 수 있게 해 주며 노인과 여성 및 임산부에게 효과적인 식품입니다.

시금치의 뿌리에는 사람에게 나쁜 요산을 분해 배출시키는 망간과 구리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잎과 함께 섭취하는 것이

건강에 더욱 좋답니다.

음식궁합은 소고기의 철분, , 우황의 산성 성분과 시금치의 알칼리성 성분이 잘 어울립니다. 깨와 함께 드시면 시금치의 부족한 부분인 단백질 보충 조화롭게 해 준다네요.시금치를 보관법은 키친타월에 싼 후 냉장고 신선실에 보관합니다.

데친 시금치의 경우에는 비닐 팩에 밀봉하여 냉동 보관하면 좋습니다

에틸렌 가스를 배출하는 사과, 키위 등과 같이 두면 노화가 촉진되므로 함께 보관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시금치를 활용한 요리에는 밥이나 죽, 면 요리에 부재료로 들어가고, 시금치 된장국으로 주로 먹습니다.

생채나 샐러드로 먹기도 하고 시금치나물, 잡채의 부재료 특히 김밥에 시금치가 빠지면 섭섭합니다

 

시금치 무침

끓는 물에 소금을 한 꼬집 집어넣고 잘 다듬은 잠깐 시금치를 넣었다 뺀다

그리고 바로 찬물에 잘 헹궈줍니다

시금치 무르면 식감이 떨어지기 때문에 시간 조절을 잘해야 합니다

헹줘준 시금치를 손으로 주물러 물끼를 빼주고 넓은 볼에 담아 놓습니다

국간장 한 스푼, 고운 소금, 1티스푼,통깨적당히,1 티스푼, 통깨적당히, 참기름 22 티스푼을 넣고

잘 버무려 주면 맛있는 시금치 무침이 완성됩니다

 

 

반응형

댓글